Job seeking Information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 됩니다.

대한민국 자산운용 업계의 최강자 미래에셋!

포맷변환_미래에셋 그룹도

미래에셋 직무소개: http://www.miraeasset.co.kr/career/dut.jsp

포맷변환_미래에셋 핵심가치

포맷변환_미래에셋 인사제도

포맷변환_미래에셋 복리후생

[미래에셋채용] 지원자격 및 우대사항

1)전 학년 평점 B이상 인자
2)어학능력 우수자 및 전문자격 소지자
3)해외여행에 결격사유가 없는자
4)국가 보훈대상자 및 장애인은 관련법에 의거하여 우대
5)남자의 경우 병역 필 또는 면제자

[미래에셋채용] 전형절차 및 일정

원서접수 – 서류전형 – 인성면접 – 종합면접 – 건강검진 – 임원면접

미래에셋 대졸 초임 연봉

1. 자산운용 4200 만원 (전체기업 18위)

2. 증권 4000 만원 (전체기업 34위)

3. 생명보험 3300 만원 (전체기업 98위)

13조 – KISTI(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1. 기관 정보와 사진

logo-kisti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은 과학기술 R&D 인프라의 체계적 구축을 통한 국가 경쟁력 확보를 위해 출범한 교육과학기술부 산하 정부출연연구기관이다.

건물

plus2

1366943627422

k92600p1n1KISTI_Visualizationlab_2
슈퍼컴퓨터 활용

박영서 원장

박영서 원장

1.1 연구분야

인쇄

1986년 ‘국가기간전산망 보급 및 이용촉진에 관한 법률’에 따라 구축사업이 추진된 후 슈퍼컴퓨터를 도입하고 행정·금융·교육·국방·연구 등 국가 5대 기간전산망을 대상으로 과학기술 연구활동을 지원하기 시작했다.

현재 국내에선 세계 최고 수준인 200기가급 백본을 전국 16개 지역망센터를 중심으로 운영하며 과학기술분야 연구자에게 첨단과학기술정보와 고부가 슈퍼컴퓨팅자원 등을 서비스하고 있다. 또한 대덕과 오송특구 등 국내 과학기술분야 대표지역 및 연구특성별 특화지역과도 10기가급 전용 네트워크를 개설, 융합연구 지원을 하고 있다. 전세계 72개국 2만여 연구기관간 글로벌 협업연구 인프라(국제연구망 인프라·GLORIAD-KR)를 갖춘 현재 세계 5위권의 국제연구망 수준으로 올라섰다.

고에너지 물리를 비롯해 천문우주, 기상기후, 원격교육, 슈퍼컴퓨팅, 생물바이오, 원격의료연구, 건설건축, 차세대네트워킹, 문화기술 등 10대 핵심 첨단 연구분야에서 국내 60개 연구지원기관과 협업체계도 구축했다. 주요 성과로는 기가급 첨단응용연구 환경제공으로 융합형 연구효율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스위스 입자가속기에서 발생하는 데이터(2.5Peta급/연)를 연구에 활용할 수 있도록 실험 데이터 전송 및 저장, 활용을 지원하는 고에너지물리분야의 경우 이 연구망의 지원을 받으면서 실험데이터를 미국으로 전송하는 경쟁에서 세계 신기록(초당 114G)을 달성했을 정도다.

1.2 인재상

건전한 가치관의 기초 위에 전문지식과 창의력을 지니고 진취적인 사고방식과 국제적 감각으로 국가 과학기술발전을 위하여 헌신할 수 있는 인재

(1) Professional 전공분야에 대한 전문 지식과 수월설을 갖춘 전문인

(2) Challenger 적극적 사고와 진취적 행동으로 문제를 개선해 나가는 인재

(3) Humanist 건전한 소양과 가치관을 통하여 기관과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인재

(4) Globalist 국제적 감각과 경쟁력을 갖춘 글로벌 인재

1.3. 연혁

1.4. 비전 및 발전 목표

1.5. KISTI Way

1.6. 조직도

 

 

2. 모집분야 및 지원자격

2.1 직종별 모집분야 및 지원자격

모집분야

2.2 공통 지원자격

(1) 국가공무원법 제33조 각호의 1에 해당되지 아니한 자
(2) 지원자는 병역필 또는 면제자로서 해외여행에 결격사유가 없는 자, 신원진술서상 문제가 없는 자
※ 전문연구요원으로 병역을 완료하지 않은 경우 응시 불가
(3) 공인영어성적 : 공인 TOEIC 700점, TOEFL PBT 547점, CBT 210점, IBT 77점 또는 TEPS 572점 이상인 자
※ 단, 박사학위 지원자, 기능직 지원자, 영어권 국가에서 학사 학위 이상 취득한자 또는 5년 이상 거주한 자의 경우 제출 불요(영어권 국가 학사 학위 이상 취득자 및 5년 이상 거주자는 면접 시 별도 영어 회화 테스트 진행 예정)
(4) 연령제한 : 없음.

 

 

3. 채용절차

전형절차

※ 해외 지원자의 경우 화상 면접 진행

– 각 면접 단계별 화상 면접 실시(국내 전형 일정(한국시간 기준)에 맞추어 진행)

– 상기 각 전형단계별 진행 일정은 연구원 사정상 변경 될 수 있음.
※ 실무면접은 연구원 본원(대전) 및 분원(서울)에서 직종별로 분류 후 실행 예정
※ 종합면접은 연구원 본원(대전)에서 진행 예정
※ 각 전형 단계별 합격여부는 온라인 채용시스템을 통해 개인별 확인 가능
※ SMS/메일을 통한 합격여부 발송은 편의상 발송하는 것으로 개인별로 온라인채용시스템을 통해 필히 확인 요망
※ 각 전형 단계별 합격자는 제출 서류 제출 방법 및 변동 사항 통보가 필요 할 수 있음으로 메일, 연락처(휴대폰) 등을 정확히 기입 요망

 

 

4. 제출서류

4.1 공통서류

(1) 응시원서(입원지원서) 및 자기소개서 1부 (온라인 채용시스템 최종 지원으로 대체)
(2) 전학년 성적증명서 (학사 ~ 최종 학위 단계) :
– 학력 제한은 없으나 필기시험 및 영어성적표 제출 면제자 확인을 위해 필수 제출
(3) 졸업증명서(학사), 학위증명서(석사, 박사) 각 1부 (학위수여 예정자는 학위수여 예정 증명서 1부 제출)
– 학위수여 예정증명서는 입사 지원서 제출 마감일까지 학교별 공식 문서로 제출된 경우만 인정
(4) 영어성적표 (2011.4.18 이후 성적만 유효)
– TOEIC700 / TOEFL PBT 547점, CBT 210점, IBT 77점 / TEPS 572점 이상
– 박사 학위 소유 지원자 제출 불요(예정 증명서 제출자 포함)
– 영어권 국가에서 학사 학위 이상 취득한자 또는 5년 이상 거주한자의 경우 제출 불요
(면접 시 별도 회화 시험 예정)
(5) 취업보호대상자, 장애인, 국가 보훈대상자 증빙서류 1부 제출(해당자에 한함)
(6) 병역증명서 1부(병역사항이 기재된 주민등록초본으로 대체 가능/ 여성 등 미 필자도 주민등록초본 제출)

4.2 모집 분야별 제출 서류

(1) 연구직
-학위 논문 요약본(10매 이하/한글) : 학력 제한 없음으로 석·박사 학위자 해당자에 한함.
-향후 연구활동 계획이나 관심분야에 대한 ESSAY(5매 이하/한글) : 연구직 응시자 전체 해당함.

-박사 학위자 연구실적 제출 : 박사 학위자 제출 필수(첨부 파일 양식 참조)

(2) 기술직
– 학위 논문 요약본(10매 이하/한글) : 학력 제한 없음으로 석·박사 학위자 해당자에 한함.
– 향후 연구활동 계획이나 관심분야에 대한 ESSAY(5매 이하/한글) : 기술직 응시자 전체 해당함.
– 박사 학위자 연구실적 제출 : 박사 학위자 제출 필수(첨부 파일 양식 참조)

(3) 행정직
– 자격증사본 1부(해당자에 한함)
– 경력증명서 1부(해당자에 한함)

 

 

5. 원서 접수 시 유의사항

(1)  총 6단계의 입사지원서 작성을 완료 후 최종 제출을 통해 지원서 작성 및 제출이 완료
(2) “*”로 표기된 필수 입력 사항 및 직종별 / 개인별 해당사항을 빠짐없이 입력
(3) 학위논문 요약본 및 ESSAY 제출 시 유의사항
· 학위 논문 요약본 : 연구직 및 기술직 중 해당자의 경우만 작성(한글 사용/자유 양식) 후
파일 첨부
· ESSAY : 연구직 및 기술직 응시자 전체 작성(한글 사용/자유 양식) 후 파일 첨부
– 박사 학위자 연구실적 : 연구직 및 기술직 응시자 중 해당자는 첨부파일 양식 활용 작성
후 첨부
· 첨부파일 다운로드 후 박사학위자 연구실적(별첨 1)을 선 작성 후 첨부파일에 있는 연구실적
심사기준(별첨 2)을 참고하여 박사 학위자 연구실적 평가표(별첨 3)를 함께 작성 후 제출)
(4) 우편, 메일, 방문 접수는 받지 않음.

 

 

6. 김완종 선배님(문헌정보학과 92학번)과의 인터뷰

6.1. KISTI 기관에 대한 질문

(1) KISTI의 다양한 직무들 중 문정과 전공을 살려서 수행할 수 있는 직무에는 무엇이 있나요?
– 정보유통, 슈퍼컴퓨팅, 정보 분석의 세 영역 가운데 정보유통 부분에 문헌정보학 전공자들이 많이 있습니다.

(2) 다른 연구기관에 비해 KISTI만이 가지는 강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 KISTI는 국가 유일의 과학기술정보를 다루는 국책 연구소인 점이 강점이자 매력이라 봅니다.

(3) KISTI 조직문화의 특징은 무엇인가요?
– 첨단 정보를 다루고 있다는 자부심과, 함께 하는 팀워크라고 봅니다.

(4) KISTI에서 일하고 싶어하는 후배들에게 조언해주시고 싶은 게 있으시다면 무엇인지요?
– 연구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시고 다양한 전공 경험을 해보시는 게 좋을 듯 합니다.

 
6.2. KISTI 채용에 대한 질문

(1) 지원 자격 상 영어성적조건은 TOEIC 700점 이상으로 나오던데요. 실무에 외국어가 많이 필요한지 궁금합니다. 또 외국어 성적이 채용 시 중시해서 보시는 기준인지 궁금합니다.

-토익 700이라는 점수는 형식적인 기준이고 실제로는 훨씬 더 높은 점수가 요구됩니다.

-또 아무래도 국제화 되어 가고 있기 때문에 공인 성적보다는 회화나 영작 실력이 더 중요시해서 보는 것 같네요.

(2) 연구직과 기술직의 지원자격을 보면 논문실적이 필요하다고 나오는데, 학사출신 지원자에게도 해당되는 자격인지요?

– 학사출신이더라도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이 있고, 연구 실적이 존재한다면 문제될 것은 없습니다.
– 다만, 확률적으로 석사, 박사학위를 받은 사람들의 연구실적이 더 많기 때문에 소속 직원들의 학력 수준은 높은 편입니다.

 
(3) 별도의 연구실적이 필요 없는 행정직의 경우에는 학사 출신들도 많이 채용되는 편인가요?
– 네 그렇습니다.

 
(4) 모든 정규직 채용이 1년 기간의 인턴 계약직 사원으로 시작되던데요. 이후 정규직 전환율은 평균적으로 어느 정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 인턴 계약직은 아니고 정규직으로서 1년 동안의 수습 기간을 거칩니다.
– 수습 딱지를 떼는 것은 특별히 직무상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이상 거의 100%라 할 수 있구요.
– 하지만 간혹 수습에서 정규직으로 넘어갈 때 문제가 되는 직원이 존재하기는 합니다.

 
(5) 연구직이나 기술직 채용 시 제일 중시하는 자격조건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 연구 능력과 사회성이 아닐까요.

 
(6) 서류전형 합격자들은 이후 일반 상식과 관련된 논술 시험을 치루던데요. 예를 들면 어떤 주제들이 출제되는지 궁금합니다.
– 일반 공기업체의 논술 시험과 유사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5조 – 제일기획

1. Corporation Analysis and Visual Reference

1.1 위치 및 각종 정보
제일기획 본사 : 서울 용산구 한남동 736-1번지
전화번호 : 02) 3780-2114
홈페이지 : http://www.cheil.co.kr
비전 : 시장과 소비자를 즉각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실전 솔루션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가치있는 생활방식과 문화를 제안한다.
슬로건 : Ideas that Move 아이디어로 세상을 움직인다.

1.2 기업 연혁

제일기획은 1973년 삼성그룹의 하우스에이전시(모기업이 있는 광고대행사를 뜻하며 주로 모기업의 광고를 집행)로 출발했다. 제일기획은 세워진 해 일본 광고기획사인 하쿠호도와 업무 제휴를 맺었다. 하쿠호도는 덴츠와 함께 일본 광고업계 1, 2위를 다투는 회사다. 1977년 광고 취급고가 100억 원을 넘어섰다. 제일기획은 이 해 국내 처음으로 전국 소비자 조사를 실시하고 소비자의 매체 접촉 형태, 라이프스타일, 제품 구매 실태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광고 기획에 활용하기 시작했다. 1979년에는 광고연감을 발간했다. 제일기획이 발간한 이 광고연감에는 1970년대 자료까지 수록돼 있다. 연감에 따르면 1974년 최대 광고주는 해태그룹이었고 태평양화학, 동아제약, 럭키그룹, 유한양행, 종근당, 미원, 한독약품, 제일제당, 롯데제과 등이 10대 광고주에 올랐다. 1987년 국내 광고기획사로는 최초로 클리오 광고제에서 본상을 수상했다. 클리오 광고제는 칸국제광고제 및 뉴욕페스티발과 함께 세계 3대 광고제로 불린다. 1987년 취급고가 1000억 원을 넘어섰다. 1989년에는 브라질의 보젤과 합작해 제일보젤을 세웠다. 1991년 국내 기업으로는 최초로 칸국제광고제 은사자상을 수상했다. 주식을 증권거래소에 상장한 것은 1998년이다. 2000년에는 일본 하쿠호도와 합작해 하쿠호도제일을 세웠다. 2002년 한일월드컵 개막식 행사를 수행했다. 이 해 11월 취급고가 1조 원을 넘어섰다. 2005년 제일기획이 내부적으로 작성한 연예인 사생활에 관한 문건이 시중에 유출됐다. ‘X파일’ 사건으로 알려진 이 문건으로 일부 연예인들이 제일기획의 광고에 출연을 거부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2007년에 취급고가 2조 원을 넘어섰다. 제일기획은 2007~2009년 대한민국광고대상을 3년 연속 수상했다. 2009년 12월 이건희 회장의 2녀인 이서현 씨가 제일기획 기획담당 전무로 임명됐다. 이 전무는 이듬해인 2010년 부사장으로 승진했다.

1.3 부서 현황

1.3.1 Creative

제일기획이 하는 일은 아이디어 사업입니다. 많은 실무경력과 수상경력이 있는 아트디렉터와 카피라이터들은 성장세를 타며안정적으로 감탄할 만한 광고 솔루션을 꾸준히 창출해내기 위해 협력하고 있습니다. 명확한 논리와 전략적인 창의력을 바탕으로 브랜드 이미지를 높여 나가며 세계에서 최고 기업의 위치에 오르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1.3.2 Account management

기업과 장기적인 사업관계를 구축하기 위하여 회계관리팀이 제일기획을 대표해서 기업의 요구와 프로젝트 피드백을 관리하는 주요 연락망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기업의 캠페인 목적을 완수하기 위한 전략적 수행계획을 짜고 개발, 제작, 홍보, 미디어, 회계기획 팀과 협력하여 전체 프로젝트를 이끌어가고 있습니다.

1.3.3 Digital marketing

글로벌 디지털 플랫폼 팀은 기업과 소비자간 전자 상거래와 기업간의 전자 상거래의 컨텐츠 개발의 철저한 감독과 인터넷 소셜미디어를 예측 분석하고 삼성의 전 세계 홈페이지와 소셜 미디어의 플랫폼 운영을 맡고 있습니다. 글로벌 디지털 캠페인 팀은 혁신적인 디지털 캠페인을 위해 매력적인 이야기를 담은 맞춤형 비주얼 콘텐츠를 제작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디지털 마케팅 그룹의 주요 업무는 기업의 마케팅과 브랜드 과제를 인식시키고 해결하는 것은 물론, 브랜드 선호도를 높이고 기업이 시장을 제대로 파악하게 해서 판매를 이끌어내는 것입니다.

1.3.4 Ratail marketing

제일기획의 리테일 마케팅 센터(RMC)에서는 전략가, 프로젝트 매니저, 크리에이티브 디자이너, 제작관리 책임자 등이 힘을 합쳐 소매 시장에서 더 나은 브랜드 체험을 창출하기 위해 세계적인 마케팅 이니셔티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구매자의 욕구와 성향을 조사 분석하여 소매시장에서 단순한 구매자를 브랜드 구매자로 변화시키는 유망한 브랜드라는 이미지를 전달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RMC의 모든 구성원들은 컨셉 있는 매장 분위기에서부터 제품을 알리는 문제까지 소비자의 다양한 터치 포인트를 넘어서 브랜드 이미지를 꾸준히 알리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1.3.5 Experience-Based Marketing

체험마케팅은 기업들에게 브랜드와 제품 이외에도 정보까지 제공하는 감각적인 방식의 서비스에 참여시켜 소비자와 쌍방향의 소통을 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개인적인 브랜드 체험은 사람들을 브랜드와 만나게 해주어 더 많은 정보를 파악하고 구매결정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소비자를 전시장이나 회의장, 이벤트 행사장 같은 브랜드 체험공간에 초대하여 창의적인 소통 언어를 제공함으로써 브랜드와 소비자를 연결해줄 기회, 다양한 매체와 수단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1.4 직원현황 및 재무제표

직원현황

재무재표

1.5 Visual References

제일기획 본사
로비1

로비2

로비3

2. Job Information and Tip related to Interview

2.1 모집부문

모집부문

2.2 지원 자격

-전학년 평점 평균 4.5점 만점 3.0이상인 분
-병역필 또는 면제자로 해외여행에 결격사유가 없는 분
-어학자격을 보유하신 분(OPlc 및 토익스피킹에 한함)

지원직군

※단, 캠페인 제작직군(ART) 지원자(디자인, 건축 및 미술 관련 전공자)에 한해 별도 어학자격 기준을 적용하지 않는다.
※청각장애인을 위한 별도 어학 평가기준 : 청각장애인用 TEPS 성적이 380점 이상 응시 가능(직군무관)

2.3 전형 절차 및 우대사항

서류지원 > 직무적성검사 > 면접 > 건강검진 > 최종합격

―광고직 직무적성검사/삼성 직무적성검사(SSAT)
주관식 : (1)창의발상력(150점/30분) – (2)분석기획력(150점/30분)
객관식 : (3)언어력(100점/25분) – (4)상식(100점/25분)

-광고창작에 필요한 능력
상징화 능력, Story Telling능력, 광고소재 활용능력, Writing능력을 평가한다. 위와 같은 능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꾸준한 독서(시․소설 등의 문학작품)와 예술작품 감상, 일기(자서전) 기록, (실제)광고제작 연습 등을 할 수 있다.

-마케팅․기획(기획서 작성)에 필요한 능력
트렌드(동향), 시장, 제품, 고객 전 요소를 각각 그리고 총체적으로 분석할 수 있어야 한다.

-창작/기획을 위한 언어능력을 보는 것으로 크게 어휘력, 문단이해력, 단락구성능력 등을 평가한다. 위 능력은 단시간에 길러지는 것이 아니므로 평소에 논리적으로 사고하고 말하는 습관을 들임으로서 고양 가능하다.

―중국어 자격보유자 : 필기 : BCT (620점 이상), FLEX 중국어 (620점 이상), 新 HSK (新 5級 195점 이상) 회화 : TSC (Lecvel 4이상), OPlc 중국어(IM1 이상)
―공인한자능력 자격보유자: 한국어문회 (3급 이상), 한자교육진흥회 (3급 이상), 한국외국어평가원 (3급 이상), 대한검정회 (2급 이상)

※SSAT합격자(보통 2배수)에 한하여 실시하는 면접
1) 직무역량(PT) 팀장급 3~4명 “기획력, 표현력, 발표력 종합 테스트”
①구성 ― 발표자료 작성(면접대기실에서 1시간) > 발표(10분) > 질의응답(20분)
②TIP ― 평소 기승전결이 구조를 갖추어 말하는 습관을 기를 것, 질문에 대한 대답이 중요(발표로 얻은 50점의 점수를 100점 혹은 0점으로 만들 수 있음)

2) 임원면접 임원급 3~4명 “과거에 의해 형성된 인성, 미래에 펼쳐질 가능성 파악”
①평가포인트 ― 조직부합도, 인성, 창의성
②TIP ― 스토리텔링, Three A(Attitude-겸손, 자신감/Appearance/Ability)

※사실상 합격의 여부를 결정하는 가장 주요한 관문은 면접이다. 면접에 임하는 응시자들이 반드시 알아야 하는 것들을 크게 3가지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제일기획에 대한 Study이다. 상대방에 대해 연구하지 않고 사랑 고백을 해서 성공을 바랄 수 없듯이, 취업도 마찬가지이다. 실제로 임원진 면접까지 올라온 응시자들 중에서 제일기획 홈페이지에 올라와 있는 회사 관련 정보를 한 번도 읽어보지 않은 사람들이 꽤 있었다고 한다. 자신이 일하고자 하는 기업의 현재(마켓쉐어, 장기적 목표, 사훈 등)를 아는 것은 물론이고, 나아가 미래에 기업이 더욱 약진할 수 있는 방향을 구체적으로 제시할 수 있다면 매우 좋다. 두 번째는 제일기획과 자신의 키워드 간 연결이다. 20여 년간 제일기획을 위해 살아온 것처럼 그러나 동시에 지나치게 직접적이지 않게 키워드로 서로를 연결하는 노하우가 필요하다. 이것은 곧 제일기획에서 나를 뽑아야 하는 이유로 어필이 된다. 마지막으로 면접은 열정의 진검승부라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표현되지 않는 자신은 없는 것이다. 면접관은 말하지 않는 깊은 속까지 헤아리지 않는다. 자신이 가진 열정을 ‘표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내용 출처 : 제일기획 대표이사장 임대기 대표님의 강연)

3. 근무조건 및 환경

3.1 대우 및 근무조건

-급여체계: 연봉제
-급여구성: 총액연봉=계약연봉+PI(Productivity Incentive)+PS(Profit Share)
-대졸초임: 계약연봉 3100만원선(PI 및 PS 별도)
-근무시간: 08:00~17:00(주 5일 근무)
-휴일휴가: 연차휴가, 특별휴가, 경조휴가 등
-복리후생: 주택자금/가계자금 대출, 자녀학자금 지원, 개인연금 지원 등

※교육훈련

-정보활용교육(인터넷, 파워포인트/매킨토시), 외국어교육(사내 및 외국어생활관 등)
-계층교육: 신입사원 Cheil Tutoring Program, 신입/경력 입문교육, 직급별 승격자 교육 등
-직능교육: CPBM(Cheil Power Brand Management)과정, Presentation 교육, Planning 교육, Artwork 교육, Documentation 교육 등
-해외연수: GCWP(Global Cheil Wharton Program), 선진사 파견연수 프로그램, MBA 지역전문가, 해외광고제 참관 등

3.2 연봉정보

연봉

3조 – 국립중앙도서관

1.사진자료
m5_s4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_개찰구
2. 담당업무 및 채용정보
직렬(직류)
채용
예정직급
담당업무
채용
예정인원
사서직
사서주사보(7급)
도서관자료의 수집․제공․보존관리, 국가 서지 작성 및 표준화, 국내도서관에 대한 지도․지원 및 협력 등 국가대표도서관으로서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업무
6명
사서직
사서서기보(9급)
도서관자료의 수집․제공․보존관리, 국가 서지 작성 및 표준화, 국내도서관에 대한 지도․지원 및 협력 등 국가대표도서관으로서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업무
5명
4. 응시자격
가. 응시결격사유 등 : 국가공무원법 제33조의 결격사유에 해당하거나 국가공무원법
                                제74조(정년)에 해당하는 자 또는 공무원임용시험령 등 관계
                                법령에 의하여 응시자격이 정지된 자는 응시할 수 없음.
※ 6급 이하 공무원의 경우 2012년도 정년은 59세, 2013년도부터는 60세임
나. 응시연령
7 급
9 급
20세 이상(1992.12.31이전 출생자)
18세 이상(1994.12.31이전 출생자)
 다. 직급별 세부 자격
구 분
7 급
9 급
 직 급 별
응시자격
– 2급정사서 이상 자격증 소지자로서 도서관법 제2조에 규정된 공공도서관, 대학도서관, 학교도서관, 전문도서관 등에서의 근무경력 3년 이상인 자(계약직 포함)
– 준사서 이상 자격증 소지자로서
도서관법 제2조에 규정된 공공도서관, 대학도서관, 학교도서관, 전문도서관 등에서의 근무경력 3년 이상인 자(계약직 포함)
 5. 시험방법
가. 필기시험
ㅇ 시험과목(각 과목별 20문항 100점)
7 급
9 급
행정법, 자료조직론, 도서관경영론
정보봉사개론, 자료조직개론
    ㅇ 합격자 결정방법 : 매과목 4할 이상, 전과목 총점의 6할 이상 득점한 자
                                 중에서 고득점자순으로 선발예정인원의 1.5배의 범위
                                 안에서 시험 합격자 결정
  나. 서류전형
ㅇ 필기시험 합격자에 대하여 응시자격 등의 적격여부 등 판단
다. 면접시험
ㅇ 면접시험은 필기시험 및 서류전형 합격자에 한하여 실시
ㅇ 당해 직무수행에 필요한 능력 및 적격성 검정
※ 면접시험 평정요소
– 공무원으로서의 정신자세
– 전문지식과 그 응용능력
– 의사 표현의 정확성과 논리성
– 예의․품행 및 성실성
– 창의력․의지력 및 발전 가능성
6. 응시원서 교부 및 접수
가. 교 부 : 도서관 홈페이지 “공지사항”에서 내려받아 사용(별도 교부 없음)
나. 장 소 :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도서관 지하3층 대회의실
(반포대로 기준 지상 1층, 출입구 통과 후 에스컬레이터 옆 통로방향)
다. 기 간 : 2012. 8. 8(수)~8.10(금) 09:00~18:00
라. 방 법 : 직접 방문 제출 또는 등기우편 우송
〔주소 (우)137-702 서울 서초구 반포대로 201 국립중앙도서관 총무과 채용담당자앞〕
ㅇ 응시원서는 1인 1매만 접수하며, 단체접수 등은 받지 않음
ㅇ 우편접수는 접수마감일 18:00 도착분까지 접수
ㅇ 응시표 회송을 위한 봉투(반송용 등기우표 부착, 응시자의 주소․성명 및
        우편번호 등 수신처 기재)를 반드시 동봉하여야 함
7. 시험일정 (※ 아래 일정 및 시간은 기관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가. 필기시험 : 2012.10.20(토) 10:00~
ㅇ 시험시간
– 7급 : 2012.10.20(토) 10:00 ~ 11:00(60분간)
– 9급 : 2012.10.20(토) 10:00 ~ 10:40(40분간)
ㅇ 시험장소 : 2012.10.15(월) 국립중앙도서관 홈페이지에 공고 예정
나. 필기시험 및 서류전형 합격자 발표 : 2012.11.19(월)
ㅇ 국립중앙도서관 홈페이지에 발표
다. 면접시험 : 2012.11.26(월) / 국립중앙도서관 6층 회의실
라. 최종합격자 발표 : 2012.12.10(월)
ㅇ 국립중앙도서관 홈페이지에 발표
8. 제출서류
구 분
7 급
9 급
공 통
– 응시원서 1부(소정양식)
   ․반명함판 사진(3.5cm×4.5cm) 2매 부착
– 개인정보 수집․이용 제공서 1부(소정양식)
– 도서관 근무 경력증명서 1부
※ 근무 경력증명서에는 1일 또는 주당 근무 시간(1일 ㅇ시간 근무 등)이
    반드시 포함되어 있어야 함.
– 취업지원대상자 증명서 1부(해당자에 한함)
– 취득 자격증 사본 1부(해당자에 한함)
직급별
– 2급정사서 이상 자격증(사본) 1부
– 응시 수수료 부착(7,000원 상당의
  정부 수입인지 : 우체국에서 구입)
– 준사서 이상 자격증(사본) 1부
– 응시 수수료 부착(5,000원 상당의
  정부 수입인지 : 우체국에서 구입)
 9. 시험에 있어서의 가산특전 안내
가. 가산특전대상자 및 가산점 비율표
구 분
가산비율
비 고
취업지원대상자
과목별 만점의
10% 또는 5%
․취업지원대상자 가점과 자격증
  가산점은 각각 적용
․구체적인 내용은 아래의
  ‘나~라’ 참고
자격증
소지자
공통적용
가산점
과목별 만점0.5~1%
(1개의 자격증만 인정)
   나. 취업지원대상자
ㅇ 『독립유공자예우에 관한 법률』제16조, 『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제29조, 『5·18민주유공자예우에 관한 법률』제20조, 『특수임무수행자
        예우 및 단체설립에 관한 법률』제19조에 의한 취업지원대상자 그리고
       『고엽제후유의증 등 환자지원에 관한 법률』제7조에 의한 고엽제후유의증환자와
        그 가족은 각 과목별 득점에 각 과목별 만점의 일정비율(10% 또는 5%)에
        해당하는 점수를 가산함.
ㅇ 취업지원대상자 가점은 각 과목 만점의 40% 이상 득점한 자에 한하여, 각 과목별
       득점에 각 과목별 만점의 일정비율(10% 또는 5%)에 해당하는 점수를 가산함.
ㅇ 취업지원대상자 가점을 받아 합격하는 사람은 선발예정인원의 30%를 초과할 수
       없음. 단, 응시인원이 선발예정인원과 같거나 그보다 적은 경우에는 그러하지 않음.
※ 취업지원대상자 여부와 가점비율은 본인이 사전에 직접 국가보훈처 및
          지방보훈청 등(보훈상담센터 ☎ 1577-0606)에 확인하여야 합니다.
  다. 자격증 소지자
ㅇ 아래 표에 제시된 자격증을 소지한 응시자에게는 매과목 4할 이상 득점자에 한하여
       각 과목별 득점에 각 과목별 만점의 일정비율에 해당하는 점수를 가산함.
구 분
자격증 등급별 가산비율
1%
0.5%
7 급
정보관리기술사,
전자계산조직응용기술사,
정보처리기사,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컴퓨터활용능력 1급
사무자동화산업기사,
정보처리산업기사,
전자계산기제어산업기사,
워드프로세서 1급,
컴퓨터활용능력 2급
9 급
정보관리기술사,
전자계산조직응용기술사,
정보처리기사,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사무자동화산업기사,
정보처리산업기사,
전자계산기제어산업기사,
컴퓨터활용능력 1급
정보기기운용기능사,
정보처리기능사,
워드프로세서 1급,
컴퓨터활용능력 2급
    ※ 폐지된 자격증으로서 국가기술자격법령 등에 따라 그 자격이 계속 인정되는
        자격증은 가산대상 자격으로 인정됨
라. 가산특전과 관련한 유의사항
ㅇ 가산특전을 받고자 하는 자는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해당 요건을 갖추어야 하며,
       반드시 필기시험 답안지의 가산표기란에 표기하여야 함.
3. 자료관리부-자료수집과 직원 인터뷰 내용 
1). 업무를 하면서 꼭 필요하다고 느낀 능력이나 국중에서 채용할 떄 주로 보는 능력
저도 모든 부서에서 일해본 경험은 없지만 제가 근무했던 부서에서 채용하실때 주로봤던 부분은 면접자 입장에서 봤을때 아무래도 도서관 경력을 그중에서 해당 업무에대한 경력을 많이보시고 만약 경력이 없을경우 할수있겠다는 자신감 태도 이러부분은 많이 보셨던거 같습니다. 저도 국중 면접본지 오래되서 지금은 어떤부분을 주로 보시는지 모르겠지만요.그리고 그일을 하면서 꼭 필요했던 부분은 아무래도 빠른 이해력, 판단력, 그리고 올바른 근무태도는 꼭 필요하다고 생각 합니다.
2) 국중의 근무환경이나 분위기에 관한 전반적인 것들
이질문도 솔직히 부서마다 분위기가 너무 틀려서 국중에 전반적분위기라고는 말씀드리가 쫌 그런데요 제가 근무했던 부서들은 바뻐서 다들 일하는 분위기고 나이차이가 많이나서 불편한거는 별로 없고 그런거보다는 선생님들과 계약직들에 서로간 대화만 잘통하면 근무하는데는 별로 나쁘지 않고요. 이부분도 솔직히 본인하기 나름이여서요.
저도 자료부서밖에 안있어봐서 국중에 워낙 부서가 많다보니까는 다른 부서들은 분위기가 어떤지 모르겟습니다.제가 있던 부서들은 전체적으로 분위기 좋고요. 자기일만 열심히하면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7조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

한국교육학술정보원(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CI_Color_Kor_A_Type

1. Institution(OR Corporation) Analysis and Visual References

연혁

비전 및 목표

주요사업

주요서비스

조직도

P20130518_102540000_3EADDA4E-E44E-4E09-AEB3-F04ABB3F046A

P20130518_102544000_9DE6B685-FF28-4105-820D-F97271CBC449 P20130518_102548000_BF494979-5033-4D89-8E30-ED9F8D0D471F P20130518_102549000_E43EC363-BAF7-4767-8ADD-6E907A2E7ECC P20130518_102552000_A6310DC4-37B9-4023-8C38-ACDF5342BC09 P20130518_102556000_81B0B608-3E93-4B07-B0BE-4ED30CDE970E

2.Job Information and Tip Related to Interview

– 응시자격

가. 국가공무원법 제33조의 결격사유가 없는 자

나. 남자인 경우 병역의무를 필한 자 또는 면제자

다. 다음의 학력자 및 경력자

∘ 학사 이상 학위소지자는 해당 분야 전공 또는 경력자

∘ 전문학사는 해당 분야 2년 이상 경력자

∘ 고졸자는 해당 분야 4년 이상 경력자

-학력 조건

대학원 이상. 비정규직에게는 대학원 이상의 학력을 요구하지는 않음.

경력직을 선호

 

-필요 자격증

정보처리기사. 하지만 직접 코딩을 하지는 않기 때문에 크게 선호하지 않음

DBMS 매우 선호하는 데이터베이스 구축 자격증

 

-필요한 능력

입사할 때 이미 데이터베이스 컨트롤 하는 정도는 숙지하고 입사해야 한다.

그에 비해 영어능력은 그다지 요구하지 않음 공인영어점수도 필요 없다.

다만, 외국과 해외 DB 계약 체결에 외국으로 메일을 쓰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기본적인 외국어 실력은 갖추는 것이 좋다.

 

-관련전공

KERIS의 실제 T.O.는 NICE/Riss/에듀넷을 큰 축으로 한다. 그중 문헌정보학을 전공한 사람은 대부분 riss에 종사하고 있고 이들은 주로 정보학을 전공했다. 현재 Riss 쪽에만 총 직원이 30명 정도 있는데 그 중 문헌정보학과를 전공한 사람이 15명 정도이다.

 

-입사 경로

정규직으로 입사하는 경우는 거의 드물다고 본다. 생각보다 기업 규모가 작기 때문에 T.O자체도 적기 때문이다.

보통 계약직이나 인턴으로 입사하여 정규직으로 전환된다.

 

★ 가장 선호하는 구직자는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컨트롤에 능한 자이다.

그렇기 때문에 문헌정보학도 또는 컴퓨터 공학을 전공한 자를 선호하는 편.

 

3. 근무조건 및 환경

-복지

공공기관이기 때문에 국가에서 법적으로 공인된 복지를 모두 따름.

여성의 경우 출산휴가, 육아휴직을 모두 철저히 보장

개인사정으로 인한 휴직, 유급휴직(외국 유학을 위한 휴직)도 보장

월차도 1년에 20일 정도 사용 가능

-공공기관이기 때문에 대체로 정시에 퇴근하는 편

 

-연봉

신입: 부서마다 다르지만 문헌정보학도들이 많이 종사하는 부서는 약2000 만원 선

2년 경력직으로 들어온 신입은 3000만원선

연봉은 공공기관마다 차이를 보임

 

Group 1 – 국회도서관 (National Assembly Library)

1. 국회도서관 분석

< 국회도서관의 미션 >

“세계의 지식정보를 수집하여 국회와 국민에게 제공함으로써 의회민주주의의 발전과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인류의 지적 문화유산을 보존하여 후세에 전승한다.”

< 국회도서관의 비전 >

“국회와 국민에게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세계 일류의 의회도서관”

1. 국회의원에 대한 무한봉사로 지식 입법부 실현에 기여한다.
2. 최상의 법률도서관 서비스로 입법활동의 전문성을 제고한다.
3. 국가 지식정보를 수집하고 글로벌 정보네트워크를 확장한다.
4. 언제 어디서나 접근 가능한 전자도서관 구축으로 국가 지식역량을 높인다.

5. 국민 속에서 국민과 함께 성장하는 열린 도서관 환경을 만든다.

< 국회도서관 조직도 >

+ For More Information, Visit ‘국회도서관 소개‘ 웹페이지

2. 국회도서관 채용정보

< 일반 채용정보> : ‘국회채용시스템‘ 웹페이지

< 세부 채용정보 > (국회도서관 열람봉사과 사서와의 인터뷰 & 국회채용시스템 종합) 

– 인턴 및 계약직

> 시험일정이 부정기적이며, 채용에 가산점은 없으나 인턴 기간은 인정.

+ 참조 : 2012년도 인턴 및 계약직 채용 횟수
국회도서관 인턴(추가채용 포함) : 2월 1회, 3월 1회.
국회도서관 법률자료조사관(일반계약직 5호) : 4월 1회, 11월 1회.
국회도서관 일반계약직 6호 : 7월 1회, 4월 1회.
국회도서관 별정직(육아휴직 대체인력) : 5월 1회, 8월 1회.
국회도서관 전문계약직 공무원 : 9월 1회.
국회도서관 기간제근로자 : 8월 1회.

– 9급 사서직

> 9급 공개경쟁채용시험이며 속기직/경위직/사서직 등 선발. 그 중에서 9급 사시직 합격 시 기본교육인 신임실무자과정(2주)을 거쳐 국회도서관의 사서로 근무하게 되며, 국회의원 및 입법관련 부서에 정보 및 자료제공 업무, 각종 국가서지의 작성ㆍ배포 업무와 외국도서관과의 자료교류, 각종 도서관 자료의 수집 및 일반 국민에게 자료를 제공하는 등의 업무를 담당.

> 인원 충원 필요시 실시됨으로 직류별로 시험일정 부정기적, 선발인원 유동적.

> 응시자격 :
– 국가공무원법 제33조에 따른 결격사유가 없는 자.
– 국회공무원 임용시험규정 등 관계법령에 의해 응시자격이 정지되지 아니한 자.
– 학력·경력 제한 없음.
– 단, 사서직의 경우, 준사서자격증 이상 소지자.

> 응시연령 : 만18세 이상 * 응시연령은 최종시험예정일이 속한 연도를 기준으로 계산한다.

> 시험과목 및 시험 :

* 1·2차 병합 선택형 필기시험
– 과목 (사서직) : 국어, 영어, 자료조직개론, 정보학개론, 헌법
– 문항수 : 과목당 20문항 (5지선다)
– 시험시간 : 100분
– 시험 범위는 따로 정해져 있지 않으므로 해당 과목 전반에 대한 폭넓은 이해 필요. (단, 행정법총론은 원칙적으로 각론에서는 출제되지 않으나, 각론의 내용이더라도 총론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경우는 출제될 수 있음.)

* 제3차 시험
– 면접시험 : 개별면접
+ 필기시험 및 실기시험 점수가 면접에는 반영되지 않음

> 가산점 자격증 : ‘국회채용시스템 > 시험안내 > 자격증 및 기타’ 참조.

+ 각 과목별 추천 교재는, 국어(재정국어), 영어(신성일영어), 헌법(채한태헌법), 자료조직개론(최달현, 이창수 저, <정보자료의 분류와 주제명>, 이경호, 김정현 저, <자료목록법>, 오동근 외 2명 저, <KDC5의 이해>), 정보학개론(이경호 저, <정보학>, Chu, Heting 저, <디지털 시대의 정보 표현과 검색>)이다.

– 8급 행정직

> 8급 공개경쟁채용시험이며 행정직 선발. 하지만 8급 행정직 합격 시, 기본교육인 신임실무자과정(5주)을 거쳐 국회사무처, 국회도서관, 국회예산정책처, 국회입버조사처에 배치. 따라서 일부 인원만 국회도서관 근무하며, ‘행정직’임으로 사서 업무가 아닌 행정업무를 담당.

> 시험일정 정기적, 선발인원 15명 내외. (평균 1~2명 정도 ‘국회도서관 행정직’으로 발령.)

> 응시자격 :
– 국가공무원법 제33조에 따른 결격사유가 없는 자.
– 국회공무원 임용시험규정 등 관계법령에 의하여 응시자격을 정지되지 아니한 자.
– 학력·경력 제한 없음.

> 응시연령 : 만 18세 이상 * 응시연령은 최종시험예정일이 속한 연도를 기준으로 계산한다.

> 시험과목 및 시험 :

* 제1ㆍ2차 병합시험: 선택형 필기시험
– 과목 : 6과목
– 문항수 : 과목당 25문항 (5지선다)
– 시험시간 : 170분, 1교시(85분) : 국어·헌법·경제학 / 2교시(85분) : 영어·행정법·행정학
– 시험 범위는 따로 정해져 있지 않으므로 해당 과목 전반에 대한 폭넓은 이해 필요.

* 제3차 시험 : 면접시험 (집단면접 및 개인면접)

> 가산점 자격증 : ‘국회채용시스템 > 시험안내 > 자격증 및 기타’ 참조.

+ 8급 공개경쟁채용시험과 9급 공개경쟁채용시험의 시험일이 상이하여 두 시험 모두 응시가능함. 따라서 대부분의 응시생이 ‘8급 행정직’ 준비하며, ‘9급 사서직’ 시험에 같이 응시함.

+ 8급 행정직 합격 후 국회도서관 행정직으로 발령이 되지 않을 경우, 3년마다 있는 ‘전보희망’ 때 신청 후, 승인 될 경우 국회도서관에서 근무. 따라서 국회도서관에서 바로 근무하는 것을 희망한다면, ’9급 사서직’을 응시해야함.

– 5급 입법고시

> 입법고시는 일반 행정직 / 법제직 / 제경직 선발.

> 시험일정 비정기적이나 대게 1차 시험은 1~3월, 2차 시험은 3~4월 시행되며, 직류별 선발인원은 5명 내외.

5급 공무원

> 세부 시험일정/시험과목/기출문제/응시요건 : ‘국회채용시스템 > 시험안내’ 참조.

+ 1차 시험, PAST의 경우 입법고시의 PSAT와  행정고시의 PAST 과목은 동일하나, 난이도는 입법고시의 PAST가 더 어려움. 입법고시의 PSAT는 전년도 합격자가 문제 출제에 참여하여, (합격자가 자신이 얼마나 어려운 시험을 합격하고 들어왔는지 과시하기위해) 시험 난이도가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음. 행정고시의 PSAT가 70~80점이 합격선이라면, 입법고시의 PAST는 60점 정도가 합격선이다. 2차 시험의 경우, 문헌정보학 과목과 법 과목을 출제함.

+ 2013년도 입법고시 법제직의 경우, 1차 시험에서 5배수를 선발함에도 불구하고, 1차 시험의 난이도로 인해 과락자가 많아, 4.5배수 밖에 선발하지 못함.

3. 국회도서관 근무환경

< 국회도서관 9급 사서직 & 8급 행정직 > (국회도서관 열람봉사과 사서와의 인터뷰 종합)

– 국회도서관 근무에 대해서…
: ‘입법부 대표 도서관’의 자부심, (공공도서관 또는 대학도서관보다 장서량이 많다는 점, 공공도서관 또는 대학도서관에서 구하기 힘든 논문 또는 양서를 가지고 있다는 점.) 하지만 국회도서관의 경우, 모든 사람이 이용 할 수 있고, 타 도서관과 체계가 달라 이용자 응대의 어려움이 존재.

– 출신관련
: 대부분 문헌정보학과 또는 사서교육원 출신이나, 출신 대학교는 (대부분) 밝히지 않음.

– 승진관련
> 9급 – 8급 : 자동승진 (1.5년 근무 + 공석 + 승진점수 만족)
> 8급 – 7급 : 자동승진 (2.5~3년 근무 + 공석 + 승진점수 만족)
> 7급 – 6급 : 자동승진 (3.5~4년 근무 + 공석 + 승진점수 만족)
> 6급 – 5급 : 심사승진 (심사 시 업무실적, 경력, 능력 등을 고려)
+ 승진점수 : 10~15점, ‘컴퓨터, 외국어, 강연, 교육’ 이수를 통하여 획득.

– 전보관련
: 3년마다, ‘전보희망서’를 작성하여 제출해야함. (현 보직을 유지하고 싶은 경우, 1년 유예 가능.) 1, 2, 3 지망까지 작성하나, 인사과의 최종결정에 따라 본인이 원하는 곳으로 갈 수도 있고, 가지 못 할 수도 있음.

– 연봉관련 : 국가공무원법에 의거, 타 공무원과 동일.
+ ‘공무원봉급표‘ 웹페이지 참조.

– 근무시간관련
: 기본적으로 국가공무원법에 의거, 타 공무원과 동일하게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가 근무시간임. 하지만 야간근무, 당직근무, 추가근무, 시차제근무 등으로 인해 퇴근시간이 늦어지기도 함. (열람봉사과의 경우, 오후 10시임.)

– 휴가관련
: 국가공무원법에 의거, 타 공무원과 동일.

– 복지관련
: 공무원 복지 포인트, 국회어린이집 이용가능 (유료), 국회연수원 이용가능 (유료), 자기계발 관련 외부강의 수강료 지원 등 대체로 타 공무원들과 동일.

Continue reading

12조 업무조사- 한국고전번역원

*본자료는 한국고전번역원 홈페이지 및 한국고전번역원 최채기 교수님 및 김재훈 선임연구원님 인터뷰를 토대로 작성되었습니다.

 

1. 소개

1-1 연혁

한국고전번역원은 1965년 창립되어 1970년 민족문화추진회 부설기관으로 활동을 시작하였으나, 2007년 11월 한국고전번역원법 통과로 명실상부한 공공기관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더 자세한 연혁

1-2 주요사업

고전문헌의 수집, 정리, 연구(원문연구)와 고전문헌의 편찬, 번역, 보급(원문번역+성과보급)이 주요사업이다.

구체적으로 한국의 문집, 역사문헌, 특수고전을 번역하여 출판 인쇄물 형태 또는 웹데이터베이스 형태로 대중에게 보급하는 것이 주된 목표이다.

더 자세한 사업소개

 

2. 업무환경

2-1 업무구성

한국고전번역원의 직원은 크게 연구직원과 행정직원으로 분류된다.

고전번역연구소, 특수고전번역실, 문집번역실, 역사문헌번역실에는 연구직원이 소속되어 업무를 담당하고,

기획조정실, 인사총무부, 재무회계실, 출판부, 자료실에는 행정직원이 행정업무를 담당한다.

2-2 업무시간

인터뷰에 따르면 연구원의 경우 주5일 40시간 탄력근무제라고 한다. 따라서 개인사정에 맞게 근무시간을 유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고 한다.

행정직원의 경우 주5일 오전9시 출근 오후6시 퇴근이 일반적이라고 한다.

2-3 복리후생

고등학생 자녀 학자금 지원

교통비, 유류비 지원, 식대 지급

복지포인트 적립의 혜택이 있다고 한다.

 

3. 채용정보

3-1 정규직 채용

 

모집분야

2012년 채용공고에 따르면 한국고전번역원에서는 공개경쟁채용을 통해 연구직 / 행정직으로 나누어 인재를 선발하고 있다.

구분

인원

담당업무

연구직

0명

• 한문고전번역과 해석
• 고전적의 정리 및 교감·표점
• 번역 연구 및 기획

행정직

0명

• 일반행정

자격요건

자격요건은 다음과 같으나, 담당자 인터뷰에 따르면 연구직의 경우, 업무 특성상 대부분 박사학위 소지자를 채용한다고 한다. 그리고 연구직의 경우 직급을 세분화 하여, 업무의 전문성에 따라 맞는 직급을 채용한다고 한다.

행정직의 경우 인사, 재무, 출판, 자료정리 및 데이터베이스 관리 분야에서 적합한 경력자를 채용하고 있으나, 상대적으로 채용규모가 적다고 한다. 이 중 문헌정보학과 전공과 관련된 직급으로는 자료실의 사서와 웹DB관리직이 있다. 그러나 두 분야 모두 2~3명 규모의 업무라 채용이 흔하지 않고, 두 분야 모두 관련분야의 경력자를 채용하기에 졸업 직후 지원에는 무리가 있다.

세부자격요건 및 우대조건

구분

자격요건

연구직

• 박사학위 소지자로서 7년 이하 관련분야 경력자

• 석사학위 소지자로서 3년 이상 10년 이하 관련분야 경력자

• 학사학위 소지자로서 5년 이상 12년 이하 관련분야 경력자

• 전문학사학위 소지자로서 7년 이상 14년 이하 관련분야 경력자

• 동등 이상의 자격이 있다고 인정되는 자

행정직

• 해당직무를 수행할 수 있다고 인정되는 자

• 학사학위 소지자로서 2년 이하 관련분야 경력자
• 전문학사학위 소지자로서 4년 이하 관련분야 경력자

• 고등학교 졸업자로서 6년 이하 관련분야 경력자

※ 취업보호대상자는 관련 법령에 따라 우대

공통자격요건

– 국가공무원법 제33조 각 호에 해당하지 않는 자

– 병역을 마쳤거나 면제된 자

입사과정

공개경쟁방식에 따라 한국고전번역원 정규직원을 채용하는 데, 2012년의 경우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1) 서류접수(이메일)

2012년 11월 8일(목) ~ 11월 26일(월) 18:00

2) 서류전형 합격자 발표

2012년 11월 28일(수)

3) 필기시험

2012년 12월 1일(토)

4)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

2012년 12월 6일(목)

5) 1차 면접

2012년 12월 11일(화)

6) 1차 면접 합격자 발표

2012년 12월 12일(수)

7) 2차 면접

2012년 12월 14일(금)

8) 최종 합격자 발표

2012년 12월 17일(월)

9) 임용예정일

2012년 1월 1일(1월 2일 출근 예정)

지원자는 서류전형-필기시험-면접의 과정을 거쳐 선발된다. 한국고전번역원 홈페이지에 각 직군에 따라 게시된 입사지원서 양식을 작성하여 서류전형에 지원하면, 필기시험을 볼 자격이 부여된다.

시험과목

시험시간

비고

번역 1교시

10 : 00 ~ 11 : 00 (60분)

* 연구직 합격자에 한함

번역 2교시

11 : 10 ~ 12 : 10 (60분)

(점심시간)

12 : 10 ~ 13 : 00 (50분)

논술

13 : 10 ~ 14 : 40 (90분)

* 연구직, 행정직 합격자

인·적성 검사

14 : 50 ~ 16 : 30 (100분)

필기시험은 위 항목을 측정하는데 번역은 고전의 원문번역능력을 판단하며, 인적성검사는 다른기업의 그것과 크게 차이가 없다고 한다. 아쉽게도 논술시험에 대해서는 인터뷰를 통해서 정보를 얻을 수 없었다.

그리고 필기시험에 통과하면, 1, 2차 면접을 통해 최종선발을 하는데, 면접은 프레젠테이션면접 과같이 별도의 능력을 요구하는 것이 아닌, 직무에 관련된 정보 위주의 면접이라고한다.

 

3-2 비정규직 채용

청년인턴제도를 통해 신입직원을 채용한 경우가 있었으나, 2009년 이후로 중단되었다. 현재는 별도의 요구에 따라 원문연구,번역 및 행정업무 두분야에서 계약직 형태의 채용을 하고있으며, 계약직 직원에게는 향후 입사시 그 경력을 감안한다고 한다.

 

4. 문헌정보학 전공자의 취업가능성

우선 주 업무가 원문 연구 및 번역인 만큼 서지학, 문헌연구 전공자를 위한 취직의 길은 언제나 열려있다. 다만 석사 혹은 박사 학위의 보유자에 맞는 전문성을 요구하는 만큼 전공에 관한 심도있는 공부와 더불어 관련분야의 경력을 쌓는 것도 중요할 것이다.

그리고 또 한 가지 중요한 업무는 연구된 성과를 대중에게 보급하는 것이다. 출판의 형식 외에도 한국고전번역원 에서는 웹DB구축을 통한 성과 보급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한국고전종합DB가 그 대표적인 사례이다. 그러나 좀더 이용자 편의에 맞게 대중화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려면 자연어 검색의 벽을 넘어설 필요가 있다고 한다. 이 과정에서 한국고전번역원에서는 정보학적 지식과 고전번역 업무에 대한 배경지식을 함양한 인재를 필요로한다. 물론 지금은 DB구축 실무를 외부업체에 위탁하고 있고, 배경지식을 가진 소수의 번역원 직원이 관리자로써 이를 감독하고 있지만,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본격화 될 경우 더 많은 인재를 요구하게 될 것이라고 한다. 여기에 정보학 전공자들의 가능성이 있다.

 

5. 사진자료

2013-05-16 14.41.172013-05-16 14.15.26입구 및 옥상 휴게실

2013-05-16 14.05.37 2013-05-16 14.11.44 번역원안내문 및 내부휴게실2013-05-16 14.11.59 2013-05-16 14.12.10내부 근무환경

[8조] Job Seeking – 국립중앙박물관

 국 립 중 앙 박 물 관

 ddwd국중박로고

1. 기관 정보

 – 연혁 및 발자취: http://www.museum.go.kr/main/publish/view.jsp?menuID=001008002001

 – 국립박물관문화재단-일반현황: http://www.cfnmk.or.kr/design/intro0401.asp

 – 브랜드 아이덴티티: http://www.museum.go.kr/main/publish/view.jsp?menuID=001008001

2. 직종 소개 및 요건

① 직종 소개

 국중박조직

* 기획운영단

– 행정지원과 담당업무

• 보안 및 관인관수

• 문서의 수발·통제·발간 및 기록물 관리

• 공무원의 임용·복무·교육훈련·연금·급여 기타 인사에 관한 사항

• 물품·국유재산의 관리

• 회계 및 결산

• 청사와 시설의 방호 및 재난관리

• 기타 다른 단·실의 주관에 속하지 아니하는 사항

–  기획총괄과 담당업무

• 주요사업계획의 수립·조정 및 심사평가

• 예산·감사·국회·법제에 관한 업무

• 조직문화 혁신에 관한 사항

• 학예사 양성 등 전문인력의 육성

• 박물관 협력망 구축 및 관련단체 지원

• 박물관 정보화 사업 및 전산실 운영

– 관리과 담당업무

• 청사관리 종합계획의 수립·조정

• 시설물의 안전점검·유지·보수

• 소속박물관의 건축과 시설의 관리에 관한 기술지도

• 시설용역업체의 기술지도 및 감독

• 수목 및 조경 관리

– 고객지원팀 담당업무

• 고객만족도 향상을 위한 종합계획의 수립 및 시행

• 관람안내 종합계획의 수립 및 시행

• 종합안내실 운영 및 고객의 안전 관리

• 고객의 편의제공 및 안내에 관한 사항

• 그 밖에 고객 불편과 관련된 제반 사항

* 학예연구실

–  연구기획부 담당업무

• 박물관학 및 박물관사 자료수집·연구

• 학예연구 관련 주요 업무계획 수립 및 조정·지원

• 학예연구에 관한 정책 개발 및 국내외 자료 조사·연구

• 전시관련 국내외 실태 조사 및 전시 기법·체계 연구

• 박물관 소장 주요 유물 연구기획 및 자료집 발간

• 소속박물관 및 공·사립박물관 전시 및 연구 지원

• 박물관 유관기관·단체의 연계 사업

• 학예연구실 관련 법령 및 규정에 관한 사항

• 학예연구실 관서운영비 및 예산, 감사, 국회에 관한 업무

• 그 밖에 실내 다른 부·팀의 주관에 속하지 아니하는 업무

– 유물관리부 담당업무

• 소장유물 및 수장고 관리

• 유물 구입·대여 및 기탁과 국가귀속문화재 관리

• 학예연구자료의 보관·관리와 자료실 운영

• 유물 복제·복사·모조 및 촬영 등의 허가

• 소속박물관 유물 관리에 관한 사항

– 고고역사부 담당업무

• 고고학, 인류학 및 역사학 분야에 속하는 문화재와 자료의 연구·조사·발굴·수집·전시·고증·평가·분석·제도·촬영 및 관련 자료 등의 발간·보급

• 선사·고대관과 중·근세관 운영 및 관리

– 미술부 담당업무

• 미술사학 분야에 속하는 문화재와 자료의 연구·조사·발굴·수집·전시·고증·평가·분석·제도·촬영 및 관련 자료 등의 발간·보급

• 서화관과 조각·공예관 운영 및 관리

– 아시아부 담당업무

• 아시아 지역의 건축, 조각, 회화, 서예, 도자, 목칠, 금속 및 섬유에 속하는 문화재와 자료의 연구, 조사, 수집, 전시, 고증, 평가 분석, 제도, 촬영 및 관련 자료의 발간보급

• 위 규정에 의한 문화재와 자료에 관한 전시실의 운영 및 관리

– 보존과학부 담당업무

• 소장유물의 보존ㆍ복원 및 과학적조사

• 소장유물의 복제ㆍ모사

• 보존과학 조사ㆍ연구 및 관련자료의 발간ㆍ배포

• 국ㆍ내외 보존과학 기관과의 교류ㆍ협력

* 교육문화재단

– 문화교류홍보과 담당업무

• 박물관 문화사업의 기획 및 운영

• 박물관 출판물 기획 및 발간

• 국내외 문화기관 및 국제기구와의 교류·협력

• 외국 원수 등 주요 외빈 안내 지원

• 국내외 언론 취재 및 홍보활동 지원

• 국립박물관문화재단 지도 및 감독

• 그 밖에 단내 다른 과·팀의 주관에 속하지 아니하는 사항

– 전시과 담당업무

• 국내·외 문화재의 특별전 기획 및 전시

• 외국 박물관의 한국실 전시 운영 지원

• 국내·외 문화기관과의 전시교류 및 협력에 관한 사항

• 전시디자인 및 기타 디자인에 관한 사항

– 교육과 담당업무

• 박물관 교육프로그램 개발 운영·지원

• 이동박물관 기획·운영

• 도서실 운영·관리

• 자원봉사자 양성교육·운영

– 어린이박물관팀 담당업무

• 어린이박물관 전시실 운영 및 콘텐츠 개발

• 어린이·가족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 어린이 특별행사

② 요 건

– 크게 일반 정규직 관리 직원과 학예사(큐레이터), 계약직 직원으로 구분 가능

– 일반 정규직 직원

• 공무원 시험 임용 후 발령

• 전화 인터뷰 내용 들어갈 것임

– 학예사

• 자격증 정보 및 취득 방법: http://www.q-net.or.kr/site/curator

• 큐레이터가 되기 위해서는 고고학, 고고미술사학, 미학, 미술사학 등의 관련 학과를 전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보통 석사 이상의 학력이 요구된다고 함

• 준학예사는 준학예사 자격시험에 합격하고 경력인정 대상기관에서 소정의 실무경력(학사 1년, 전문학사 3년, 기타 5년 이상)을 갖추어야 한다. 자격시험은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주관하고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한다. 3급 정학예사는 박물관 또는 미술관 관련 분야의 박사•석사학위 취득자 또는 준학예사로서 소정의 경력(박사 1년, 석사 2년, 준학예사 4년)을 갖추어야 한다. 이밖에 2급 정학예사는 3급 정학예사로서 경력 5년 이상, 1급 정학예사는 2급 정학예사로서 경력인정대상기관에서의 경력 7년 이상의 자격을 갖추어야 한다.

– 계약직 직원

• 상시적으로 국립중앙박물관 채용 공고로 게시됨:

http://www.museum.go.kr/program/board/list.jsp?menuID=001009002&boardTypeID=30

• 계약기간은 발령일로부터 매년 12월 31일까지며, 최초 계약일로부터 2년까지 연장 가능

• 지원 요건은 각 모집 분야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남

 

3. 보수 및 근무환경

 – 일반 정규직 직원

 • 연 1450만원(9급 공무원 1호봉 기준, 특별수당 및 보너스 제외 금액)

 – 학예사

 • 일반적으로 추후 협의되는 경우가 많음.

 • 연 2400만원 이하인 경우가 많다고 함

 – 계약직 직원

 • 여러 분야에 걸쳐 선발하기 때문에 다양한 분포를 보이고 있으나 보통 월 120만원 수준

 (고객지원팀 기간제 월 115만원, 교육과 기간제 월 125만원 등) 

[6조] Job Seeking – 삼성의료원 의학정보센터, 고려대학교 병원 의학도서관, 국립암센터 병원자료실

* 저희 6조는 병원도서관 특성상 그것에 대한 연혁 및 간단한소개와 채용정보등에 대해서 자세한 정보가 나와있지가 않아서 선배님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입수가능한 정보를 최대한 얻어내고자 노력하였고 그것 위주로 Job Seeking 과제를 수행했다는점 양해 부탁드리겠습니다.

1. 삼성의료원 의학정보센터

캡처 캡처1 캡처2

삼성의료원 의학정보센터

임현정 선배님

서울 강남구 일원동 50번지 삼성서울병원 의학정보팀

TEL : 02-3410-3920

E-mail : hjeong.lim@samsung.com

* 기관 정보 및 소개

2013-05-17 17;36;43 2013-05-17 17;37;05

① Objective

병원자료실 사서

② Education

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1990년 입학)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석사, 2002년 입학)

③ Relevant Courses

채용조건에서의 필수 이수 과목을 묻는 것이라면 그런 것은 없습니다.

채용 시 응시조건에 “OO과목 이수자“ 라는 문구는 본 적 없습니다.

학부에서 배운 전공필수 과목은 당연히 모두 큰 도움이 되었지만, 특히 대학원에서 듣게 된 과목들(데이터의미관리특강, 학술정보서비스연구 등등)이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10년 정도의 실무기간이 지나고 새로운 내용을 들을 수 있었던 것이 좋았습니다.

④ Skills

채용 요건에는 4년제 문헌정보학과 졸업(예정)자였습니다. 즉, 사서자격증만 있으면 조건은 충족되었습니다. 그 당시에는 공인영어성적이 보편화되기 직전이었으므로, 서류심사 후에 ‘상식’과 ‘영어’ 시험을 보았었고, 적성검사, 면접 (1차, 2차), 논술시험을 보았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당연히 이용자, 고객을 상대해야 하므로 서비스 정신과 상황판단능력 등은 필수적이라고 생각합니다. 하나 덧붙인다면 ‘유연성’을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사고의 유연성, 행동의 유연성 등을 말씀드리는 것인데, 이를 위해서는 자신에 대한 자신감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힘들다는 생각입니다. 본인의 실력에 대한 자신감이 있으면 불시에 생기는 모든 상황에 대해 여유 있고 침착하게, 유연성 있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의학’ 등 전문 정보센터에서 근무하기 위해서는 서비스하는 대상의 수준이 높은 만큼, 보다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합니다. 보편적인 서비스로는 인정받기 힘듭니다.

⑤ Related Experience

그런 것은 없었고, 학부시절 4학년 가을에 신입직원으로 채용이 확정되어 2월 졸업 후 3월부터 근무하였습니다.

⑥ Additional Experience

없습니다.

 

* Job Information and Tip Related to Interview
(1) 전형방법 : 서류전형 → 1차 면접 → 2차 면접 → 건강검진

(2) 제출서류

경력증명서 또는 재직증명서  1부.
전학년 성적증명서   1부.
어학성적 증명서 등 기타 자격증 사본   각 1부. (해당자에 한함)
취업보호대상자증명서   1부. (보훈대상자에 한함)

2. 고려대학교 병원 의학도서관

고려대 의학도서관 고려대 의학도서관3 고려대 의학도서관21277097998276939000

고려대학교 병원 의학도서관

김병균 선배님

서울 성북구 안암로 145 고려대학교 의학도서관

TEL : 02-920-6264

E-mail : sunvi@library.korea.ac.kr

* 위 연락처는 선배님께서 고려대학교 의학도서관 근무 당시 연락처입니다.

경기도 용인시 기흥읍 서천리 경희대학교 수원캠퍼스 입학관리처

TEL : 031-201-3088

E-mail : sunvi@khu.ac.kr

* 김병균 선배님께서는 10년전 까지 고려대학교 의학도서관에서 근무하시다가 지금은 경희대학교 입학처에 근무하시고 계십니다.

* 기관 정보 및 소개

asdasd

① Objective

병원자료실 사서

② Education

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1994년 입학)

③ Relevant Courses

근무에 필요하거나 채용시에 자격요건으로 보는 필수 이수 과목은 없었습니다.

단, 3학년때 수강했던 「정보시스템론」(고영만 교수님) 과목이 입사필기시험 및 실제 근무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정보시스템론」 강의는 주제별 정보원과 시스템 구성, 그리고 정보의 유통 구조 파악을 목적으로 수강생 2명이 한 조가 되어 주제별로 정보원을 찾아 조사한 contents를 공개 발표하는 형식으로 진행되었는데, 당시 선택했던 주제가 ‘의학’ 분야였고, 방문조사 발표 형식의 수업 진행 방식에 어렵게 과제를 수행했던 경험이 효율을 가져다주었던 것 같습니다.

교양과목으로 4학년때 수강한 「인체해부학」도 조금 도움이 되었습니다.

④ Skills

의학을 주제로 하는 도서관(자료실) 사서가 되기 위해 필요한 자격 요건으로 질문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당연히 전문직으로서의 사서자격증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인성적 기본 소양을 갖춤은 당연합니다. 이는 입사 지원 요건과 전형 과정에서 면접을 통해 테스트 받습니다.

관종(館種)에 상관없이 컴퓨터와 영어에 대한 능력 입증은 인성과 함께 근무의 수월성을 높입니다. 외국 자료의 의존도가 높은 의학 분야 정보의 특성상 단순한 컴퓨터와 영어에 대한 성적보다는 정보검색 능력과 의학용어, 의학주제명표목표[MeSH(Medical Subject Headings)]등의 이해가 우선입니다.

퇴사 후 시행된 제도이지만 부가적으로 한국의학도서관협의회의 ‘의학사서’ 자격을 위한 교육, 실무, 학·협회 활동, 출판, 시험을 통한 점수 획득 능력이 필요합니다.

⑤ Related Experience

고려대학교 의학도서관이 저의 첫 직장입니다.

⑥ Additional Experience

없습니다.

* Job Information and Tip Related to Interview
(1) 서류전형 – 면접전형 – 채용

(2) 제출 서류
입사지원서, 자기소개서(사진 1장 포함) 1부
최종학교(졸업, 성적) 증명서 각 1부
경력증명서 및 경력사항 각 1부(해당자에 한함)
자격증 사본 각 1부(해당자에 한함)

3. 국립암센터 병원자료실

1368745189638 1368745114118 1368745149243 1368745175689 1368745130070 1368745088013 13687450954591368748624188 1368748633069 1368748651102

국립암센터 병원자료실

안태영 선배님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일산로 323

TEL : 031-920-1965

E-mail : aty0223@ncc.re.kr

* 안태영 선배님은 5년 전까지 국립암센터 병원자료실에서 근무하시다가 지금은 국립암센터 인사 관리팀의 과장으로 근무하시고 계십니다.

* 기관 정보 및 소개(딱히 없어서 웹 홈페이지를 첨부하였습니다.)

asdasdsadasdasdasdasdasdasd

① Objective

병원자료실 사서

② Education

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1995년 입학)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석사, 2000년 입학)

③ Relevant Courses

병원자료실에 근무하기 위해서 꼭 필요거나 반드시 이수해야 하는 과목은 없지만 근무 했을 당시에 이은철 교수님의 도서관 경영론, 고영만 교수님의 시스템 분석론 수업과 오삼균 교수님의 데이터베이스설계론 수업이 많이 도움이 되었습니다. 자기가 직접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구조화 하는 것이야 말로 정말 실무에 도움 되고 저희가 학부과정에서 물론 분류와 목록에 대해서 배우지만 실제적으로는 대출과 열람업무가 거의 웹상으로 다 이루어 지다보니 여기서 막상 직접 해본 경험이 없습니다. 지금도 물론 그렇겠지만 제가 근무했을 당시에도 정보검색쪽인 시스템분석쪽이 거의 필요로 하지 분류나 목록은 거의 하질 않았습니다.

④ Skills

저희 국립암센터 병원자료실은 직접적인 대출과 열람 업무에 필요한 능력보다는 웹상으로 모든 업무(위 사진 첨부한것중에 웹 통합시스템을 통해서 전자매체를 대출 열람하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를 다 하고 있기 때문에 기본적인 정보검색능력과 웹상에서 이용자들에게 보다 더 편리하게 대출 열람업무를 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 쪽으로 꼼꼼하고 신속한 일처리를 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사서자격증은 당연히 필요한 부분이고 기본적인 영어자격증도 필요로 하지만 거의 중요하지 않고 학부과정에서의 학점과 성적이 제일 중요합니다.

⑤ Related Experience

학부 시절 저희 학교 도서관에서 대출과 열람업무를 하는 근로 장학생으로 근무했던 적이 있습니다.

⑥ Additional Experience

없습니다.

* Job Information and Tip Related to Interview
(1) 서류전형 – 실무자면접 및 인성검사 – 관리자면접 – 채용

(2) 제출 서류
학력 및 성적증명서(대학 및 대학원 : 성적증명서는 석차기재 필수)
경력증명서 또는 재직증명서(지원서에 기재된 모든 경력)
면허증 사본
영어시험성적 및 전산 자격증 사본(영어 및 전산점수 입력 필수, 해당파일 업로드 필수)
* 유효기간 경과여부 관계없이 성적제출 가능
국가유공자 및 유족입증서류(해당자에 한함)
장애인 입증서류(해당자에 한함)

* 국립암센터 병원자료실에 대해 선배님의 간략한 소개와 앞으로 문정과 후배들을 위한 조언을 해주셔서 별도로 적었습니다.

처음에는 없었고 생긴지 12년이 됨, 현재 장서 보유량은 책 100~200권밖에 없음 . 거의 서고수준입니다. (저희도 처음에 이곳이 과연 도서관인가 할 정도로 의심이 들정도 였습니다. 위 사진에 보시면 아시겠지만 40평남짓의 공간에 장서, 열람실, 컴퓨터, 복사기 등 모든 것이 좁은공간에 배치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국립암센터는 공공기관이라 대우수준은 정말 괜찮고 민간기업보다는 안정적이고 고용수준만큼은 훨씬 우수하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이제 곧 대학원 도서관이 오픈예정에 있어서 1~2명정도 사서직을 뽑을 예정에 있습니다. (*선배님께서 인사팀에 근무하고 계셔서 면접관으로 직접 갈 확률이 높기 때문에 우리 후배들이 지원하면 예쁘게(?) 봐준다는 농담 섞인 말씀도 하셨습니다.) 연봉은 남자기준 3300정도 되며 여자는 그보다 100~200정도 낮습니다. (초봉 기준) 각종 복리후생도 일반 사기업처럼 모두 제공하며 복지카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공공기관이라 근무여건은 정말 좋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지금은 기록관리학 쪽에서 아주 전망이 밝다고 하셨습니다. – 공공기관에서 한명씩 기록관리학문을 꼭 이수한 직원을 배치해서(각 기관에 그런 사람이 없으면 기록관리학 학문에 대해 배울 수 있도록 파견을 보냄) 그 사람한테 각종기록물들을 각 기준에 맞게 보존하고 폐기할 것을 가르는 임무를 맡기고 있기 때문입니다.

Job information sharing- 삼성학술정보관, LG상남도서관

삼성학술정보관

1.Institution(OR Corporation) Analysis and Visual References
연혁
장서현황
발전전략과제
조직도

디도1
디도2
디도3
디도4

2.Job Information and Tip Related to Interview

2-1. 자격요건
[응시자격]
– 4년제 정규대학 졸업 학력이상인 자
– 대학 전학년 평점평균 4.5기준 3.0이상인 자
– 남성의 경우 군필 또는 면제자에 한함
– 본교 인사규정상 임용결격사유가 없어야 함
– 해외여행에 결격사유가 없는 자
[우대사항]
– 외국어(영어,중국어) 능통자
– 보훈대상자는 관계법에 의거 우대

☞문헌정보학과 전공생이 아니더라도 지원 가능하나, 일반적으로 문정과 졸업생을 채용한다. 주제사서의 경우 특정 분야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하므로 경영학과, 전기전자과 등 전공이 다양하다.
☞공인영어성적의 경우 토익점수는 800~850점 이상.

2-2. 채용과정
-삼성학술정보관 사서정규직의 경우 ‘사서직’을 따로 채용하지 않으며, 성균관대 교직원 채용공고를 통해 일반사무직과 함께 모집한 후 디지털도서관에 배정한다. 채용공고는 연 1회정도 학교 홈페이지 공지사항에 게재된다.
★SSAT(삼성직무적성검사) 필수 – 성균관대 재단이 삼성인지라 사서직을 포함한 모든 교직원 채용은 삼성직원채용과 같은 절차를 거친다.

[1차 서류전형] 이력서 + 자기소개서(약 7문항, 다양한 양식이 필요)
[2차 SSAT]
[3차 면접] 영어면접, 합숙면접 등. 신체검사

☞중요하게 보는 덕목은 ‘성실함, 정직함’으로 이는 자기소개서와 면접을 통해 판단한다.
그러므로 자기소개서는 절대로 다른사람이 쓴 것을 짜깁기 하면 안 된다.
☞자소서에는 자신의 ‘비전’을 포함시켜 작성하는 것이 좋다. 평소에 도서관을 이용하면서 불편한 점, 개선할 점 등을 잘 파악해두자. 이를 토대로 우리 도서관의 문제점을 어떠한 방식으로 개선해 나가겠다는 ‘비전을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때 자신의 의견에 문헌정보학과 ‘수업에서 배운 내용과 개념을 적절히 연관’시켜 내용을 이끌어낸다면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있다.
☞평소 공고가 올라왔는지 수시로 확인해야 한다. 채용공고가 났다면 도서관에서 일하는 선배님을 찾아가거나 연락을 드려서(팀장님 포함 성대 문정과 선배님들이 여럿 계심) 면접이나 채용과정에 대해 여쭤보는 적극성을 보이는 것도 필요하다.

-계약직의 경우 아웃소싱으로 채용하며, 사서자격증을 가지고 있거나 문헌정보학과 학생이 대다수이다. 여성의 채용비율이 높다.

2-3. 주요 업무내용(주제사서 중심)

-삼성학술정보관을 담당하는 자연정보운영팀은 총 4명의 주제사서로 구성되어있다. 업무가 단과대 별(자과대/정보통신대/공대/약학대)로 나누어져 있고 한 명의 주제사서가 각 단과대를 담당한다.

– 원문복사업무: 연간 4,000~5,000 건
– 도서관에서의 교육담당: DB검색교육, 교안제작, 이공계특화교육, 글쓰기 교육 등
– 민원, 시설 고장을 케어
– 본교특허출원 담당: 출원특허를 찾아서 교수에게 보내고 피드백 받음
– 장서관리, 수업도서, 과제도서, 연구도서 관리
– 홍보 행사 개최: 리빙라이브러리 프로젝트, 독서힐링캠프 등 (도서관 이용자 하락추세에 대처)
– 사대도협(사립대학교도서관협회) 과의 상호대차 및 세미나

3. 근무조건 및 환경
[직원 복지]
– 일반적인 대학도서관 직원과 동일.
– 특별한 점은 없음
[근무 장단점]
-장점 :비교적 규칙적인 업무, 자유로운 시간 활용
-단점 :단조로운 업무, 홍보행사의 어려움, 채용인원이 적음, 계약직이 많다
[퇴직 연령대]
– 정규직 : 보통 10년~25년 재직 후 50대 후반에 퇴직
– 계약직 : 보통 1년~2년 재직 후 퇴사
[여성비율]
-정규직 : 25~30% 여성
-계약직 : 대부분 여성
[직원의 연령대]
-정규직 : 40~50대
-계약직 : 20~30대의 젊은층
[계약직과 정규직 비율]
-정직원이 27명 정도 (자연정보운영팀)
-계약직과 정직원은 1:1 비율

LG상남도서관

1.Institution(OR Corporation) Analysis and Visual References
LG상남도서관 소개
연혁
자료현황, 이용현황

120606_22_3
사진출처: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0&oid=005&aid=00005142631368719363981
1368719327706
2013-05-09 13.49.11

2.Job Information and Tip Related to Interview
2-1. 조직구조
조직도
정직원은 총 9명이다. 크게 시스템팀과 기획운영팀으로 나눠지며, 기획운영팀에서 한 명 내지 두 명의 디지털사서가 하나의 서비스를 담당한다.

2-2. 주요 업무내용
담당하는 서비스에 따라 상세한 업무 내용은 조금씩 다를 수 있다. LG상남도서관은 ‘디지털도서관’이므로 일반 도서관과는 달리 웹, 모바일 컨텐츠를 기획, 운영하는 것이 주요 업무이다.

ㅇ 웹서비스 기획 : 웹서비스 전략기획 및 개편, 스토리보드 작성 및 UI 설계, 신규 서비스 기획 및 추진, 교사/학부모 등 이용자군별 타겟 서비스 기획/운영
ㅇ 웹서비스 운영 : 웹서비스 운영 및 콘텐츠 업데이트, 메타콘텐츠 및 UCC 서비스 DB 구축, 검색서비스 모니터링 및 서비스 품질 강화, 이용자 설문조사 기획 및 결과분석, 서비스 이용 로그/통계 분석
ㅇ 온라인 콘텐츠 기획 및 제작 : 멀티미디어 교육 콘텐츠 기획 및 제작
ㅇ 온라인 마케팅 : 온라인 이벤트/공모전 기획 및 진행, 언론 보도자료 작성/배포
ㅇ 이용자 커뮤니케이션 및 정보서비스 : 이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 및 정보상담, 핵심이용자 모니터링 그룹 운영/관리, 이용자군별 뉴스레터 기획/운영, UCC 서비스 게시물 운영/점검

2-3. 자격요건 & 요구능력
[기본자격]
-신입 및 도서관/정보서비스 관련 경력 3년 이하로 제한(대부분 경력직을 뽑음)
-남자는 병역필 또는 면제자로 해외 여행에 결격사유가 없는 자
[우대자격]
-웹 서비스 기획/운영 경력
-영어 활용 우수자

☞공석에 따라 자격요건이 조금씩 다르며 세부사항은 LG상남도서관 공지사항에 올라오는 채용공고에 상세하게 적혀있다.
반드시 사서자격증이 필요하진 않으나 현재 재직중인 분들은 모두 문헌정보학과 출신이다.

[기대능력]
ㅇ 도서관 및 사회공헌 관점에서의 온라인 정보서비스에 대한 이해
ㅇ 이용자 상담 및 협업을 위한 명확한 커뮤니케이션 능력
ㅇ 영어회화, 영작, 번역 능력
ㅇ 기획안, 제안서, 보고서 작성 및 발표 능력
ㅇ 서비스 외부환경(이용자 요구조사 및 벤치마킹) 분석 능력
ㅇ 웹 트렌드 및 뉴미디어(스마트폰, 타블렛PC, IPTV 등)에 대한 지식 및 관심
ㅇ 온라인 정보검색 서비스 및 메타정보 서비스에 대한 지식 및 관심
ㅇ 어린이/청소년 교육콘텐츠 및 정보서비스에 대한 지식 및 관심

☞업무환경과 내용상 지속적으로 새로운 지식, 기술, 정보를 접해야 한다.
그러므로 웹 트렌드나 뉴미디어 기술에 대한 관심이 있고,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으며, 새로운 것을 즐기고 좋아하는 사람이 적합하다.

2-4. 채용과정
정해진 채용주기는 없으며, 공석이 나면 LG상남도서관 공지사항에 채용공지가 올라오므로 수시로 확인해야 한다.

[1차 서류전형]
[2차 면접전형] (1)presentation면접, (2)실무진면접, (3)임원진면접
[3차 건강검진]

☞1차 서류전형의 최저기준
-영어: 최소 토익 750점 이상 (웹 서비스 기획, 견학, 논문 작성 시 영어를 사용. 팀장급은 IFLA 학술대회에서 발표를 하기도 한다.)
-학점: 최소 3.7~8/4.5점 이상 (학점이 너무 높은 지원자는 인터뷰에서 인성, 경험에 대한 내용이 강화됨)
-자격증: 자격증의 종류가 갯수가 채용시 중요한 요소는 아니지만, 최소 2-3개 정도는 준비하는 것이 좋다.
-대외활동: 동아리, 공모전, 서포터즈, 봉사활동 등 2-3개 정도로 업무와 관련지을 수 있는 경험이 필요하다.

☞1차에 보통 80-100명이 지원하고, 기획팀 직원의 무기명 투표를 통해 6명 전후의 2차 면접자를 선발함. 2차 면접자로는 대개 영어점수와 학점이 높거나, 업무와 관련된 경험이 많은 지원자와 경력자들이 주로 포함된다.

☞2차 면접전형
(1)presentation면접 : 어떤 아이템에 대해 전반적인 기획을 해야한다. 부여된 과제에 대해 조사,분석,자료 작성 후 개인별 파워포인트발표를 하게 되며 기획팀 사원 전원이 공동으로 평가한다.
(과제수행시간 1시간 30분, 발표시간 20분 이내)
-평가요소: 기발한 아이디어, 과제수행과정, 기획제안발표 등 다각적인 실무능력

(2)실무진면접 : 함께 근무하게 될 동료 실무진과의 면접 (20분 이내)
실무진면접은 함께 성장할 수 있는 동료를 찾는 것이 목적으로 팀장급 이상은 참석하지 않는다. 아무리 실력이 출중해도 이 면접에서 인성점수를 받지 못하면 취업이 불가능하다.
-평가요소: 인성과 열정

(3)임원진면접 : 임원진 및 관리자 면접 (30분 이내, 간단한 영어 문답 포함)
상무,팀장급 면접. 임원들의 경험이 우러난 짧은 문답이 진행되며, 유학파출신 직원이 영어문답을 진행한다.
-평가요소: 인터뷰 자세, 업무실력, 예의, 인성, 영어활용능력

☞입사를 준비하기 위해 관련전공 공부(학점 4점 가까이), 영어(토익 800점 이상), 경력쌓기(다양한 관련 경험), 공모전,기획경험 등등이 필요함.
☞남들이 하는 거 따라서 하기보단 ‘자신만이 내세울 수 있는 특별한 기술이나 능력’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3. 근무조건 및 환경
-오전9시~ 오후6시 근무(야근하는 경우는 드물다), 주 5일 근무, 주말 휴무
-LG그룹의 구자경 명예회장님께서 거주하시다가 기증한 사택에서 근무한다.
-9명의 직원이 3개의 서비스를 기획, 운영 할 뿐 아니라, 네이버나 다음 등 포털서비스와 제휴관계를 유지하며, LG공익재단 홈페이지 관리도 하는 등 업무량이 많은 편이다.
-직원수가 적은 만큼 조직분위기는 수평적이다.
-채용시 LG연암문화재단 소속이 되며, 급여 및 기타 복리후생은 LG화학과 비슷한 수준이다.
LG화학 복리후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