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oup 1 – The Hungry Earth


* Please, turn on ‘Subtitle’ (Right Botton) for better experience.

The Hungry Earth

“Something is wrong.”
“We knew, but we agreed never to question about it.”

: Through a voice of man who lost everything,
this is a story about how our society, our food system, and out civilization came to fall.

Continue reading

Group 1 – 국회도서관 (National Assembly Library)

1. 국회도서관 분석

< 국회도서관의 미션 >

“세계의 지식정보를 수집하여 국회와 국민에게 제공함으로써 의회민주주의의 발전과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인류의 지적 문화유산을 보존하여 후세에 전승한다.”

< 국회도서관의 비전 >

“국회와 국민에게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세계 일류의 의회도서관”

1. 국회의원에 대한 무한봉사로 지식 입법부 실현에 기여한다.
2. 최상의 법률도서관 서비스로 입법활동의 전문성을 제고한다.
3. 국가 지식정보를 수집하고 글로벌 정보네트워크를 확장한다.
4. 언제 어디서나 접근 가능한 전자도서관 구축으로 국가 지식역량을 높인다.

5. 국민 속에서 국민과 함께 성장하는 열린 도서관 환경을 만든다.

< 국회도서관 조직도 >

+ For More Information, Visit ‘국회도서관 소개‘ 웹페이지

2. 국회도서관 채용정보

< 일반 채용정보> : ‘국회채용시스템‘ 웹페이지

< 세부 채용정보 > (국회도서관 열람봉사과 사서와의 인터뷰 & 국회채용시스템 종합) 

– 인턴 및 계약직

> 시험일정이 부정기적이며, 채용에 가산점은 없으나 인턴 기간은 인정.

+ 참조 : 2012년도 인턴 및 계약직 채용 횟수
국회도서관 인턴(추가채용 포함) : 2월 1회, 3월 1회.
국회도서관 법률자료조사관(일반계약직 5호) : 4월 1회, 11월 1회.
국회도서관 일반계약직 6호 : 7월 1회, 4월 1회.
국회도서관 별정직(육아휴직 대체인력) : 5월 1회, 8월 1회.
국회도서관 전문계약직 공무원 : 9월 1회.
국회도서관 기간제근로자 : 8월 1회.

– 9급 사서직

> 9급 공개경쟁채용시험이며 속기직/경위직/사서직 등 선발. 그 중에서 9급 사시직 합격 시 기본교육인 신임실무자과정(2주)을 거쳐 국회도서관의 사서로 근무하게 되며, 국회의원 및 입법관련 부서에 정보 및 자료제공 업무, 각종 국가서지의 작성ㆍ배포 업무와 외국도서관과의 자료교류, 각종 도서관 자료의 수집 및 일반 국민에게 자료를 제공하는 등의 업무를 담당.

> 인원 충원 필요시 실시됨으로 직류별로 시험일정 부정기적, 선발인원 유동적.

> 응시자격 :
– 국가공무원법 제33조에 따른 결격사유가 없는 자.
– 국회공무원 임용시험규정 등 관계법령에 의해 응시자격이 정지되지 아니한 자.
– 학력·경력 제한 없음.
– 단, 사서직의 경우, 준사서자격증 이상 소지자.

> 응시연령 : 만18세 이상 * 응시연령은 최종시험예정일이 속한 연도를 기준으로 계산한다.

> 시험과목 및 시험 :

* 1·2차 병합 선택형 필기시험
– 과목 (사서직) : 국어, 영어, 자료조직개론, 정보학개론, 헌법
– 문항수 : 과목당 20문항 (5지선다)
– 시험시간 : 100분
– 시험 범위는 따로 정해져 있지 않으므로 해당 과목 전반에 대한 폭넓은 이해 필요. (단, 행정법총론은 원칙적으로 각론에서는 출제되지 않으나, 각론의 내용이더라도 총론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경우는 출제될 수 있음.)

* 제3차 시험
– 면접시험 : 개별면접
+ 필기시험 및 실기시험 점수가 면접에는 반영되지 않음

> 가산점 자격증 : ‘국회채용시스템 > 시험안내 > 자격증 및 기타’ 참조.

+ 각 과목별 추천 교재는, 국어(재정국어), 영어(신성일영어), 헌법(채한태헌법), 자료조직개론(최달현, 이창수 저, <정보자료의 분류와 주제명>, 이경호, 김정현 저, <자료목록법>, 오동근 외 2명 저, <KDC5의 이해>), 정보학개론(이경호 저, <정보학>, Chu, Heting 저, <디지털 시대의 정보 표현과 검색>)이다.

– 8급 행정직

> 8급 공개경쟁채용시험이며 행정직 선발. 하지만 8급 행정직 합격 시, 기본교육인 신임실무자과정(5주)을 거쳐 국회사무처, 국회도서관, 국회예산정책처, 국회입버조사처에 배치. 따라서 일부 인원만 국회도서관 근무하며, ‘행정직’임으로 사서 업무가 아닌 행정업무를 담당.

> 시험일정 정기적, 선발인원 15명 내외. (평균 1~2명 정도 ‘국회도서관 행정직’으로 발령.)

> 응시자격 :
– 국가공무원법 제33조에 따른 결격사유가 없는 자.
– 국회공무원 임용시험규정 등 관계법령에 의하여 응시자격을 정지되지 아니한 자.
– 학력·경력 제한 없음.

> 응시연령 : 만 18세 이상 * 응시연령은 최종시험예정일이 속한 연도를 기준으로 계산한다.

> 시험과목 및 시험 :

* 제1ㆍ2차 병합시험: 선택형 필기시험
– 과목 : 6과목
– 문항수 : 과목당 25문항 (5지선다)
– 시험시간 : 170분, 1교시(85분) : 국어·헌법·경제학 / 2교시(85분) : 영어·행정법·행정학
– 시험 범위는 따로 정해져 있지 않으므로 해당 과목 전반에 대한 폭넓은 이해 필요.

* 제3차 시험 : 면접시험 (집단면접 및 개인면접)

> 가산점 자격증 : ‘국회채용시스템 > 시험안내 > 자격증 및 기타’ 참조.

+ 8급 공개경쟁채용시험과 9급 공개경쟁채용시험의 시험일이 상이하여 두 시험 모두 응시가능함. 따라서 대부분의 응시생이 ‘8급 행정직’ 준비하며, ‘9급 사서직’ 시험에 같이 응시함.

+ 8급 행정직 합격 후 국회도서관 행정직으로 발령이 되지 않을 경우, 3년마다 있는 ‘전보희망’ 때 신청 후, 승인 될 경우 국회도서관에서 근무. 따라서 국회도서관에서 바로 근무하는 것을 희망한다면, ’9급 사서직’을 응시해야함.

– 5급 입법고시

> 입법고시는 일반 행정직 / 법제직 / 제경직 선발.

> 시험일정 비정기적이나 대게 1차 시험은 1~3월, 2차 시험은 3~4월 시행되며, 직류별 선발인원은 5명 내외.

5급 공무원

> 세부 시험일정/시험과목/기출문제/응시요건 : ‘국회채용시스템 > 시험안내’ 참조.

+ 1차 시험, PAST의 경우 입법고시의 PSAT와  행정고시의 PAST 과목은 동일하나, 난이도는 입법고시의 PAST가 더 어려움. 입법고시의 PSAT는 전년도 합격자가 문제 출제에 참여하여, (합격자가 자신이 얼마나 어려운 시험을 합격하고 들어왔는지 과시하기위해) 시험 난이도가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음. 행정고시의 PSAT가 70~80점이 합격선이라면, 입법고시의 PAST는 60점 정도가 합격선이다. 2차 시험의 경우, 문헌정보학 과목과 법 과목을 출제함.

+ 2013년도 입법고시 법제직의 경우, 1차 시험에서 5배수를 선발함에도 불구하고, 1차 시험의 난이도로 인해 과락자가 많아, 4.5배수 밖에 선발하지 못함.

3. 국회도서관 근무환경

< 국회도서관 9급 사서직 & 8급 행정직 > (국회도서관 열람봉사과 사서와의 인터뷰 종합)

– 국회도서관 근무에 대해서…
: ‘입법부 대표 도서관’의 자부심, (공공도서관 또는 대학도서관보다 장서량이 많다는 점, 공공도서관 또는 대학도서관에서 구하기 힘든 논문 또는 양서를 가지고 있다는 점.) 하지만 국회도서관의 경우, 모든 사람이 이용 할 수 있고, 타 도서관과 체계가 달라 이용자 응대의 어려움이 존재.

– 출신관련
: 대부분 문헌정보학과 또는 사서교육원 출신이나, 출신 대학교는 (대부분) 밝히지 않음.

– 승진관련
> 9급 – 8급 : 자동승진 (1.5년 근무 + 공석 + 승진점수 만족)
> 8급 – 7급 : 자동승진 (2.5~3년 근무 + 공석 + 승진점수 만족)
> 7급 – 6급 : 자동승진 (3.5~4년 근무 + 공석 + 승진점수 만족)
> 6급 – 5급 : 심사승진 (심사 시 업무실적, 경력, 능력 등을 고려)
+ 승진점수 : 10~15점, ‘컴퓨터, 외국어, 강연, 교육’ 이수를 통하여 획득.

– 전보관련
: 3년마다, ‘전보희망서’를 작성하여 제출해야함. (현 보직을 유지하고 싶은 경우, 1년 유예 가능.) 1, 2, 3 지망까지 작성하나, 인사과의 최종결정에 따라 본인이 원하는 곳으로 갈 수도 있고, 가지 못 할 수도 있음.

– 연봉관련 : 국가공무원법에 의거, 타 공무원과 동일.
+ ‘공무원봉급표‘ 웹페이지 참조.

– 근무시간관련
: 기본적으로 국가공무원법에 의거, 타 공무원과 동일하게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가 근무시간임. 하지만 야간근무, 당직근무, 추가근무, 시차제근무 등으로 인해 퇴근시간이 늦어지기도 함. (열람봉사과의 경우, 오후 10시임.)

– 휴가관련
: 국가공무원법에 의거, 타 공무원과 동일.

– 복지관련
: 공무원 복지 포인트, 국회어린이집 이용가능 (유료), 국회연수원 이용가능 (유료), 자기계발 관련 외부강의 수강료 지원 등 대체로 타 공무원들과 동일.

Continue reading